반응형

출퇴근 2

공유자전거;일레클

공유자전거 이용해 보셨나요??저는 최근 일레클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출퇴근을 자차로 하고 있는데도 가끔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출퇴근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집에서 지하철역까지 자전거로 5분 거리, 근무지 부근 지하철역에서 출근 SPOT까지 또 자전거로 10분 거리...마을버스를 타고 다니기로 애매한 거리와 노선 때문에 {자전거를 하나 더 살까?} 고민했었습니다.그러다 문득, 공. 유. 자. 전. 거. 를 떠올렸습니다.자전거가 있어서 그동안 한 번도 이용해 보지 않았었는데, 이번 기회에 이용해 보겠다고 검색을 해보았습니다.먼저 [따릉이]를 알아보았습니다. 따릉이는 서울에서만 이용가능 하다고 합니다.(저의 근무지는 영종도입니다. ㅠ){따릉이는 요금도 저렴하다고 하던데... 아쉽다...} 하고 있는데 애들 엄..

math 2024.11.07

출퇴근 거리에서 찾은 복지

출퇴근 시간이 짧다는 것은 아마도 최대의 복지가 아닐까 싶습니다.얼마 전까지는 저도 그 최대의 복지혜택을 누리며 살았더랬습니다. 집에서 걸어서 7~8분 거리에 일터가 있었지요.최근 일터가 바뀌면서 출퇴근 소요시간이 각각 40분 정도가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늘어난 출퇴근시간에 크게 연연하지 않았습니다.하지만 점점 무언가 손해 보고 있다고 느껴지게 되어버렸습니다.자유시간 1시간이 사라진 느낌입니다.뭔가 억울한 마음에 관련가사를 찾아봅니다.동아일보의 작년 12월의 기사입니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1221/122724698/1 한국인 출퇴근에 1시간 12분…수도권 근로자는 1시간 23분 쓴다통근자의 평균 왕복 출퇴근 소요시간은 약 1시간 12분, 이동 거리..

JOB생각 2024.09.24
반응형